컴활1급 엑세스 기출문제
컴활1급 엑세스 암기
컴활1급 엑세스 벼락치기
공부 하면서 지문 하나씩 추가 하는 형식으로 작성하여 순서가 뒤죽박죽 입니다.
기본키(PK) : 2개 이상 필드에 기본키 설정할 때 필드 옆 네모칸 드래그 블록설정 후 글자 있는 부분에서 우클릭 한 후 기본키로 설정
~필드에는 값이 반드시 입력되도록 설정 : 필드속성 → 일반 탭 → 필수(예)
유효성 검사 규칙 : 필드속성 → 일반 탭 → 유효성 검사 규칙
입력 마스크 : 필드속성 → 일반 탭 → 입력마스크
입력형식;문자 저장여부;표시할 기본 값
예제) 영문 대문자 1글자 와 숫자 3글자가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나오도록 입력마스크 설정.
● "A-101" 의 형식이며 반드시 값이 입력되도록 설정 하시오.
● 데이터가 입력될 자리에 #이 표시되도록 하고 "-" 도 저장되도록 설정하시오.
>L-000;0;#
대문자 영문 - 숫자 ; 문자 저장 ; 입력될 자리에 표시
● 문자 저장 0 , 생략하면 저장 안 함
~필드는 "01월 01일" 의 형식으로 나오도록 형식을 설정 : 필드속성 → 일반 탭 → 형식
입력 마스크 | 입력할 글자 하나하나를 따로 제어 ex) >00LL : 대문자 숫자2개 필수 문자2개 필수 |
유효성 검사 | 입력 글자 전체를 가지고 입력 여부를 판단 ex) 500이상의 자료만 입력 받아라 |
형식 | 입력한 자료를 표현하는 방법 ex) 1-5를 1월 5일로 표현 |
필수 | 선택(공백가능) 공백은 생략을 의미 | |
숫자(기호 안됨) | 0 | 9 |
영문자, 한글 | L | ? |
영어, 한글, 숫자 | A | a |
문자, 숫자, 공백 | & | c |
대문자 > , 소문자< ex) 전부 대문자로 : >LL , 전부 소문자로 : <LL |
||
# : 선택요소, 숫자공백 가능, 덧셈뺄셈기호 가능 |
관계 설정 : 데이터 베이스 도구 → 관계
- 두 테이블 간에 항상 참조 무결성을 유지 : 항상 참조 무결성 유지 체크
- 필드가 변경되면 이를 참조하는 필드가 따라 변경되도록 : 관련 필드 모두 업데이트
- 참조하고 있는 테이블의 레코드를 삭제할 수 없도록 : 관련 레코드 모두 삭제 체크 안 함
- 참조하고 있는 테이블의 레코드를 삭제할 수 있도록 : 관련 레코드 모두 삭제 체크
외부 데이터 : 외부 데이터 → 가져오기 및 연결 → 파일 확장자에 맞게 클릭 → 지정된 경로 설정 후 파일 가져오기
문제 지문에서 새로운 테이블로 작성 이라는 문구가 있으면 새 테이블로 가져오기 체크
~파일의 첫 번째 행은 필드의 이름임 : 첫 행에 열 머리글이 있음 체크
기본 키 로 설정 하시오 : 지문에 나온 필드 선택
컨트롤에 각각 필드를 바운드 시키시오 : 속성시트 → 데이터 → 컨트롤 원본 선택
레코드를 삭제할 수 없도록 설정 : 폼 의 속성시트 → 데이터 → 삭제 가능 → 아니오
레코드 탐색 단추가 표시되지 않도록 : 폼 속성시트 → 형식 → 탐색 단추 → 아니오
구분선이 표시되지 않도록 : 폼 속성시트 → 형식 → 구분선 → 아니오
기본 보기 속성을 연속 폼 으로 설정 : 폼 속성시트 → 기본 보기 → 연속 폼
하위 폼 : 디자인 → 컨트롤 → 하위 폼 / 하위 보고서 사용 (컨트롤 마법사 사용) → 영역에 드래그
조건부 서식
- 엑세스 조건부 서식은 엑셀과 다르게 =(이꼴) 를 사용하지 않음
- 조건부 서식 문제에서는 식을 적을 때 필드명을 꼭! [ ]로 묶어서 사용
보고서 정렬 : 빈 공간 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 → 정렬 및 그룹화
- 보고서는 정렬 과 그룹화를 다르게 보지 않음 따라서 그룹화 기준이라고 하여도 정렬이 되는것
컨트롤에 평균을 표시 : 속성시트 → 데이터 탭 → 컨트롤 원본 → =avg([필드명])
날짜 함수
엑셀 | 엑세스 | 프로시저 | |
오늘 날짜 | TODAY() | DATE() | DATE |
오늘 날짜와 시간 | NOW() | NOW() | NOW |
프로시저
- 문제 지문에 맞게 레코드 원본을 확인하여 연결된 자료들 파악하는 것이 중요함!!
Filter 속성
문자열 | Me.Filter = "필드명 = '" & 컨트롤 명 & "'" Me.FilterOn = True |
숫자, 논리값 | Me.Filter = "필드명 = " & 컨트롤 명 Me.FilterOn = True |
날짜 | Me.Filter = "필드명 = #" & 컨트롤 명 & "#" Me.FilterOn = True |
문자열 일부를 찾을 때 | Me.Filter = "필드명 = '*" & 컨트롤 명 & "'" Me.FilterOn = True |
Me.FilterOn = True : 필터 가동 명령
Me.FilterOn = False : 필터 해제 명령
Me : 현재 개체 (현재 폼에서 현재 폼 정보를 필터링 할 때)
docmd : 다른 개체 (현재 폼에서 다른 폼이나 보고서를 불러올 때)
1) 필터 안의 식은 "(큰 따옴표)로 묶는다. ="필드명 = 컨트롤명"2) 비교값이 문자열인 경우 '(작은 따옴표)로 컨트롤을 묶는다. ="필드명 = '컨트롤명'"3) 컨트롤 명 외의 부분을 "(큰 따옴표)로 묶고 "(큰 따옴표)로 묶은 부분과 컨트롤을 &(앰퍼센트)로 결합한다.
="필드명 = '" & 컨트롤명 & "'"
이해하기 어렵다면 그냥 때려서 외우기 (큰 따옴표, 작은 따옴표, 앰퍼센트 위치 전부 외우기)
폼의 값을 가져오는법
현재 폼 | [컨트롤 명] |
외부 폼 | [FROMS]![폼이름]![컨트롤명] |
하위 폼 | [폼이름].[FORM]![컨트롤명] |
데이터 베이스 함수
=함수명("계산할 필드","테이블(쿼리)","조건") | |
DSUM | 조건에 맞는 자료의 합 |
DMIN | 조건에 맞는 자료의 최소값 |
DMAX | 조건에 맞는 자료의 최대값 |
DAVG | 조건에 맞는 자료의 평균 |
DLOOKUP | 조건에 맞는 자료의 특정 필드값 추출 |
DCOUNT | 조건에 맞는 자료의 개수 |
콤보상자
1) 조회 → 콤보상자
2) 컨트롤 원본 설정
3) 제시 된 필드 가져오기
'번호' , '용도' 를 가져와서 용도만 표시 : 열 너비를 0;제시된 크기(없으면 생략)
중복 되는 값 제거 : 빈 공간 오른쪽 클릭 → 속성 시트 → 고유 값 "예"
~저장 되도록 : 바운드 열 (지문에 맞게 순서를 숫자로 입력)
행 개수 : 행수
'License Study > 컴퓨터 활용능력 1급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컴퓨터 활용능력(컴활) 1급 필기 (2) | 2025.03.28 |
---|